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타이항공 법인파산소식

타이항공은 태국의 국적기인데, 파산신청을 한 모양입니다. 아직 확정은 아니고 정부승인을 받아 법원의 허가 절차가 남아있네요. 국적기가 파산했다는 소식에 많은 분들이 놀란 것 같습니다.

타이항공은 태국 재무부가 51%의 지분을 갖고있는 곳이지만, 타이항공의 파산을 막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뒷얘기가 남아있는데, 파산신청을 해야만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파산신청을 강행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코로나 여파로 인한 파산은 아니라는 점을 확실히해야합니다. 코로나 여파로 타이항공급의 회사들이 줄줄이 도산할 가능성은 적습니다. 타이항공의 파산은 갑작스러운 소식까지는 아니고 이미 작년 11월부터 소식이 나왔었죠. 저가항공사와 비교하여 경쟁력이 부족하고 태국 관광산업자체가 둔화되며 손실이 지속된 결과인데요.

Could Thai Airways Be The Next Airline To Go Bankrupt? Airline In ‘Crisis,’ Says President

The last few years have been difficult for airlines. During such a strong period of growth for travel and the global economy, the question must be asked how so many airlines have gone bankrupt. Air Berlin, Jet Airways and Thomas Cook along with their aircraft division to name but a few.

Thai Airways fleet in Bangkok Suvarnabhumi Airport

THAI's fleet as seen in Bangkok (BKK) Suvarnabhumi International Airport. Thai Airways the flag ... [+] NURPHOTO VIA GETTY IMAGES

The overriding reason is such stringent price competition in the sector. The dawn of low-cost carriers has meant that many full-service airlines are losing money on short-haul flights, and when competition in the long-haul sector becomes so price-sensitive, and privy to many external factors such as fuel costs and government intervention, there is little margin for error in the aviation sector.

I recently published an article in Forbes.com on how Norwegian could be the next airline to fail. The difference with Norwegian is that their brand has garnered such strong value in recent years that the likely course of action would be that they remain in operation but are taken over. The problem with Norwegian and many other airlines is one of debt. Even as Norwegian’s Q3 results looked like a marked improvement, the unsustainable debt pile is what contracts the often rapid growth that they have thrived off, and makes them even more vulnerable to small market movements. In trying to reduce their debt pile, raising more capital through debt is off the table, and with a decimated equity price, there is little place for airlines who hit turbulence to turn to in raising capital, except bankruptcy or a takeover.

https://www.forbes.com/sites/jamesasquith/2019/11/19/could-thai-airways-be-the-next-airline-to-go-bankrupt-airline-in-crisis-says-president/#5b250e924a58

항공업은 보통 비행기 하루 정박료 등 고정지출이 만만치 않기에 매출 10%가 하락해도 기업 자체가 휘청합니다. 대한민국에서 타이항공과 같은 포지션에 자리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상황도 예의주시하는 분들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모두투어 등 상장 여행업체들이 버티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보입니다.

한화투자증권이 여행업종의 미래에 대한 분석을 내놨는데 상장여행사 5곳(하나투어, 모두투어, 노랑풍선, 참좋은여행, 세중)이 매출 없이 버틸 수 있는 기간을 최소 1년 반, 평균 2년 반 이상으로 봤다. 일단 이들 상장 여행사 5곳이 매출 없이 버틸 수 있는 기간은 짧으면 1년 반, 길면 2년 반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매출 제로 상태로 2년 이상을 버틸 수 있는 재무구조라는 것도 흔치 않은데, 그 이상을 버틸 수 있다는 점에 높은 점수를 줄 만 하다.

그렇다면 어떤 여행사가 가장 먼저 쓰러질까. 이 결과가 충격적이다.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1등 여행사 하나투어가 가장 먼저 몰락한다는 관측이다. '단기간 활용할 있는 자금은 절대금액 기준으로는 가장 크지만, 사업 확장에 따라 함께 커진 고정비 부담이 상당하다'

오히려 2위 모두투어가 하나투어 보다는 상황이 훨씬 낫다. 면세점 등 딴 곳에 눈을 돌린 하나투어와 달리 여행 본업에 집중해 왔던 모두투어는 2021년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도 거의 없는 수준. 한화투자증권은 10개 분기 이상 충분히 버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렇다면 매출 없이 견딜 수 있는 극강의 생존력 끝판왕 여행사는 어디일까. 놀랍게도 참좋은여행과 세중이다. 참좋은여행과 세중은 '제로 매출' 상태에서도 3년 이상을 너끈히 버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 여행업체들과 항공업체들의 상황도 예의주시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